현재 대부분의 인터넷 요금제 속도는 100 Mbps, 500 Mbps, 1 Gbps 중에 하나의 인터넷 요금제를 사용하고 있습니다.
우리가 흔히 간단한 인터넷을 검색 할 때에는 크게 속도 차이가 크지 않지만, 집 안에서 여러 컴퓨터로 나누어서 작업하거나 스마트폰 등을 여러개 연결하여 클라우드 환경 작업, 앱 다운로드, 넷플릭스 등 대용량 작업을 하게 되면, 좋은 화질, 빠른 속도는 결국 우리 집으로 들어오는 인터넷 속도와 가장 큰 연관 관계가 있습니다.
그래서 주기적으로 인터넷 속도체크를 해서 좀 더 나은 곳을 선택해야 하나 고민이 필요한데요, 한군데가 아니라 3개 이상의 여러 사이트에서 확인해 보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. 통신사에서 제공하는 측정 사이트를 보통 이용하게 되나, 다른 속도 측정 사이트도 이용해보는 것이 내 인터넷 속도 체크에 도움이 됩니다.
FAST.COM 속도 측정 사이트
fast는 아래의 URL로 접속할 수 있습니다.
바로가기 : https://fast.com/ko/
접속하자 마자 측정이 시작되며 잠시 기다리면 바로 결과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.
상세 버튼을 통해 latency 시간 및 업로드 등의 속도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speed test net에서 인터넷 속도 체크하기
speedtest.net은 아래의 URL로 접속할 수 있습니다.
바로가기 : https://www.speedtest.net/
가입한 통신사가 보이며, 현재 위치가 보이게 됩니다. Change Server로 변경해서 측정 기준을 적용할 수도 있습니다.
GO 버튼을 누르면 우선적으로 다운로드 속도부터 측정을 시작합니다.
조금 기다리면 다운로드, 업로드, 핑 등의 결과값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GOOGLEFIBER에서 스피드 측정하기
GOOGLE FIBER 사이트는 아래의 URL을 통해 접속할 수 있습니다.
바로가기 : http://speedtest.googlefiber.net/
플레이 버튼을 누르면 점검을 시작할 수 있습니다. 측정이 완료되면 다운로드 / 업로드 결과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.
Done 메시지가 보이며 핑값, 다운로드 결과, 업로드 결과를 보여줍니다.
이상으로 인터넷 스피드 테스트를 할 수 있는 서비스 3가지를 알아보았습니다. 여기저기 다양한 사이트를 두루 테스트 해보며 내 인터넷의 속도 체크해 보시기 바랍니다.
함께 보면 좋은 글
'유용한 생활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재산세 납부 증명서를 인터넷으로 발급하기 (0) | 2022.12.22 |
---|---|
아파트 공시 가격 조회 방법 - 국토교통부 아파트 공시지가 조회하기 (1) | 2022.04.03 |
주말 운영 병원 찾는 방법 - 인터넷으로 주말 문여는 병원 찾기 (0) | 2022.03.06 |